데이터와 현장에서 ‘팩트팩트(Fact Pack)’를 만듭니다
팀이 빠르게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우리는 사설탐정 업무를
공개 자료 분석·현장 관측·기록화·보고의 흐름으로 재구성해 팩트팩 형태로 전달합니다.
이렇게 다릅니다 — 세 가지 원칙
- 객관
- 주관적 서술보다 검증 가능한 근거(시간, 장소, 출처)를 우선합니다.
- 합법
- 공개 접근이 가능한 정보와 정당한 절차만 사용합니다.
- 기밀
- 필요 최소 정보만 수집, 분리 보관, 접근 권한 제한을 원칙으로 합니다.
주요 사용 사례
- 거래 전 기본 확인 — 공개 자료 기반으로 상대 현황을 요약한 원페이지 브리프 제공
- 현장 정합성 점검 — 일정·장소 정보의 불일치 여부를 공개 구역 중심으로 확인
- 평판 이슈 초기 파악 — 공개 채널의 이상 신호를 모아 주요 쟁점만 추려 전달
- 시설·자원 스냅샷 — 출입이 허용된 범위에서 안전·동선·표식 등 관측 가능한 항목만 기록
산출물 구성
- 타임라인
- 시간대별 사실과 출처를 한 화면에 정리
- 포인트 메모
- 결정에 필요한 관찰 포인트·가설·다음 단계 제안 요약
- 스냅샷
- 공개 공간에서 확인 가능한 표식·동선·환경 요소 사진/노트
진행 구조
- 브리핑 — 목적·범위·기한·제한사항 정리
- 설계 — 정보원·시간창·보고 포맷 확정
- 실행 — 공개 자료 분석과 현장 관측, 기록 자동화 템플릿 적용
- 보고/폐기 — 브리프·타임라인·스냅샷 전달, 보관 기간 종료 시 안전 폐기
패키지 예시
구성 | 내용 |
브리프 | 원페이지 브리프 + 타임라인 요약 (단기 확인용) |
스냅샷 | 현장 관측 1–2회 + 사진/노트 + 요약 보고 |
프로젝트 | 기간 지정 다회 관측 + 공개 자료 분석 + 상세 보고 |
착수에 필요한 것
- 알려진 사실과 확인이 필요한 질문 3개 이내
- 관련 시점·장소·접점 목록(가능한 범위)
- 원하는 보고 형식(브리프/상세)과 마감일
과잉이 아닌 정확한 최소로 돕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