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적 정의: 논점은 사실의 품질
사건은 이야기의 드라마가 아니라 근거의 재현성으로 평가됩니다. 목적 문장을 한 줄로 고정하세요. 예: “특정 요일, 특정 구간의 동선 확인.” 이 문장에 맞춰 수집 범위와 기록 단위를 미리 표준화하면 이후 행정·법적 단계에서 해석 충돌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법적 컷오프: 위법 여지는 초기에 삭제
사설탐정사무소는 무단 추적, 기기 침해, 비동의 녹음 등 위법 소지가 있는 요청을 접수하지 않습니다. 공개 접근 가능 정보, 당사자 동의 하 수집, 현장 관찰로 축적되는 기록만 다룹니다. 합법의 경계가 선명할수록 결과물의 효력은 커집니다.
3) 검증 가능한 신호 정의: 관찰 가능한 지표만 남긴다
- 시간 신호: 날짜·시간대 연속성
- 공간 신호(POI): 반복 출현 지점 후보군
- 행동 신호: 이동, 대기, 출입 같은 측정 가능한 단위
- 보조 신호: 합법 범위의 문서 흔적(영수증 등)
신호는 “많이 모으기”가 아니라 “겹쳐 보기”가 핵심입니다. 서로 다른 시간·거리·각도를 중첩해 단일 결론로 수렴시키는 설계가 필요합니다.
4) 관찰·기록 설계: 현장 루틴을 체계화
사설탐정사무소의 현장 설계는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됩니다.
- 타임라인 매핑: 관찰 슬롯을 일정표로 고정
- 관찰 루트 분리: 접근·대기·철수 포인트를 분리해 충돌 최소화
- 증빙 우선순위: 시각 자료 → 위치·시간 로그 → 보조 정황 순
결과물은 “한 번의 강한 장면”보다 “여러 약한 장면의 일관성”이 강합니다.
5) 삼각검증: 단서의 교차 일치
단일 출처의 인상은 배제합니다. 서로 다른 관찰 시점(주·부 슬롯), 서로 다른 각도(근·원), 서로 다른 기록자의 일치로 신뢰도를 끌어올립니다. 일치가 부족하면 일정 재배치, 루트 스왑, 슬롯 추가로 보정합니다.
6) 체인 오브 커스터디: 문서·매체의 연속성 보장
사설탐정사무소 문서 체계는 취득–보관–전달–파기의 흐름을 로그로 남깁니다.
- 매체 식별자(파일 해시, 촬영 메타)와 기록자 서명
- 권한 기반 열람, 전송 이력, 버전 관리
- 사건 종료 후 파기 기준과 시점 사전 고지
증거는 “무엇을 봤나” 이상으로 “어떻게 보관됐나”가 함께 검증됩니다.
7) 산출물 표준화: 재현 가능한 보고서
- 타임라인 로그: 시간·좌표·행동의 연속 기록
- 시각 패키지: 이미지/영상과 캡션·촬영정보 매칭
- 팩트 시트: 확인 사실과 해석을 분리
- 활용 가이드: 제출 방법, 열람 범위, 보관·파기 권고
읽는 사람이 절차를 재수행해도 같은 결론에 도달해야 합니다.
8) 범위·예산 관리: 변수로 설명되는 견적
사설탐정사무소 견적은 정찰제가 아니라 변수의 함수입니다.
- 범위: 대상·지점 수, 시간대 폭
- 기간: 관찰 주차, 반복 필요성
- 난이도: 은폐 가능성, 이동 복잡도, 현장 리스크
- 보고 수준: 요약 vs. 풀 패키지
초기 상담에서 목표·제약(기한·예산)을 명확히 잠그면 불필요한 관찰을 줄이고 결정적 장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9) 의뢰 전 체크리스트(압축형)
- 목적 문장이 하나로 고정됐는가
- 합법 범위를 이해하고 동의했는가
- 보유 자료를 시간순으로 정리했는가
- 관찰이 필요한 요일·구간을 좁혔는가
- 결과물의 활용 경로(행정·법적)를 알고 있는가
- 보안·보관 정책과 파기 기준을 확인했는가
증거는 속도가 아니라 설계의 문제입니다. 오늘은 범위와 우선순위를 먼저 고정해 보세요. 준비가 되셨다면, 조용한 1:1 상담으로 목적에 맞는 절차와 산출물을 함께 설계하겠습니다.
